출처 : 경향신문
이재명 대통령이 대통령 집무실의 청와대 복귀를 결정하며 국가 시스템 정상화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대통령실은 10일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 복귀를 위한 관람 조정 계획과 함께, 관련 예비비 259억 원을 편성해 국무회의에 상정했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청와대 복귀는 단순한 공간의 이동이 아닌, 국정 운영의 중심을 국민과 역사 위에 다시 놓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 시스템을 정상화하고, 권위와 책임의 공간을 제자리에 되돌리는 상징적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지난 정부의 결정에 따라 약 2년간 국민에게 개방돼왔다. 그러나 개방과 활용이 중복되며 생긴 안전과 보안의 문제, 동선 혼선 등을 해결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청와대 활용을 위해 관람 방식이 순차적으로 조정될 예정이다.
청와대재단에 따르면, 관람은 7월 14일까지 기존대로 유지되며, 7월 16일부터 31일까지는 예약 인원 및 동선을 제한적으로 조정 운영한다. 8월부터는 종합 보안 및 안전 점검을 위해 임시 중단되며, 복귀 이후 새로운 시스템 하에 재개될 계획이다.
이번 복귀에 투입되는 예비비는 259억 원으로, 용산 이전 당시 집행된 378억 원 대비 약 69% 수준이다. 강 대변인은 “예산을 절감하는 한편, 공정하고 투명한 업체 선정과 소통 중심의 사무실 배치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청와대 복귀는 주말과 휴일을 이용한 순차적 이행으로, 현행 국정 운영에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에 따르면, 청와대 복귀는 짧게는 3개월, 길게는 6개월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일각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100일에 맞춘 공식 복귀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이번 결정은 단순히 업무 공간의 복귀를 넘어, 대통령직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회복하고 국정 운영의 연속성과 품격을 강화하는 의미를 가진다. 정치권 안팎에서도 “대통령의 청와대 복귀는 과거의 회귀가 아닌, 미래를 위한 질서 회복”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국민과 소통하고,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청와대의 새로운 모습이 기대되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의 국정철학이 어떻게 공간 속에 구현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앙일보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5일(현지시각) 새로운 정당인 ‘아메리카당’(America Party) 창당을 공식 선언했다. 전날 자신이…
연합뉴스 “검찰권을 지키기 위해 목소리를 높였지만, 정작 잘못엔 침묵했습니다. 우리 모두 잘못했습니다.”4일 취임한 임은정 신임…
나경원 의원 SNS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 동의안이 여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하자, 이를 저지하겠다며 국회 로텐더홀에서…
EPA 연합뉴스 러시아 정부가 세계 최초로 탈레반 정권을 아프가니스탄의 공식 정부로 인정했다. 국제사회는 이 결정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4일, 김민석 신임 국무총리에게 임명장을 수여하며 “총리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나라 운명이…